Version Control Tool/Git
-
2. 원격 저장소를 내 로컬 저장소로 받아오기(clone)Version Control Tool/Git 2021. 8. 16. 15:48
'1. Git이란? GitHub에 코드 올리기(commit과 push)' 글에 이어서 진행되는 과정이다. 1번에서 만든 원격 저장소인 boxiting 저장소를 다른 사람(cat이라고 하자)이 만들었다고 가정하고, 다른 사람의 원격 저장소를 나(oct)의 로컬 저장소로 받아오려고 한다. 1번 글과 같은 과정으로 내 pc에 로컬 저장소 boxiting-oct를 새로 하나 만든다. 그리고나서 1번에서 작업한 과정에 이어서 하는 중이라면 -> 맥 : 커맨드 + t 로 새 탭을 열거나 커맨드 + n으로 새 창을 연다. 윈도우 : cd .. 입력 후 엔터 -> 이전 폴더로 이동한 후 boxiting-oct 폴더로 이동 원격 저장소를 내 로컬 저장소로 받아오기 :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 ※ 뒤에 점을..
-
1. Git 이란? GitHub에 코드 올리기(commit과 push)Version Control Tool/Git 2021. 8. 16. 11:20
인프런 '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강의 수강하며 공부한 기록입니다. Git Git은 버전관리 시스템이다. 내가 원하는 시점마다 버전을 만들고, 버전을 자유롭게 이동해서 그 시점부터 작업할 수 있다. Git은 혼자 작업할 때뿐만 아니라 협업 시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git을 이용하면 나와 같이 일하는 팀원의 버전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 버전과 팀원의 버전을 비교해서 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Git 사용하기 저장할 공간에 git 폴더를 생성한다.(=> 로컬 저장소) 이 git 폴더에는 버전 정보, 원격 저장소 주소 등이 저장된다. 저장 공간은 개인 pc가 될 수도 있고, 회사 서버가 될 수도 있고, GitHub나 BitBucket, GitLab과 같은 클라우드가 ..
-
깃허브 어플리케이션에서 repository 생성하고 프로젝트 관리하기Version Control Tool/Git 2021. 4. 14. 22:02
※ 깃허브 계정이 있어야 한다. ※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으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repository 생성하기 Publish repository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올린다. Publish 후 깃허브 홈페이지 새로고침을 하면 생성된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 커밋, 푸시 작업 후 작업사항, 변동사항을 커밋 Summary, Description을 입력하고 Commit to main을 누른다. Push origin을 누른다.
-
이클립스와 깃허브 연동Version Control Tool/Git 2021. 4. 13. 01:28
1. 깃허브에 저장소 만들기 깃허브 sign in 후 new repository New를 클릭한다. Create repository 2. 로컬 저장소 만들고 저장하기(commit) 로컬pc의 저장소에 작업 내용을 저장한다. ① 로컬 저장소를 만든다.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Share project ② 작성한 소스코드 로컬 저장소에 추가하기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Add to Index ③ 로컬저장소에 저장하기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Commit 3. 로컬에 저장해 놓은 소스코드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push) Team -> Push Branch Master URI란에는 앞에서 생성했던 깃허브 저장소의 url을 복사하여 붙여넣는다. Host와 Repository Pa..